본문 바로가기
생활 팁

한국식, 기독교식 장례 예절 (절하는 방법) 🙏

by 브레인룸 2025. 2. 10.
728x90
728x90

 

조문 시 기본 예절

  • 상가에 도착하면 먼저 상주나 맞이하는 사람에게 인사를 하고 안내를 받습니다.
  • 상복은 어두운 색의 단정한 옷차림이 적절합니다.
  • 음식과 술을 대접받더라도 과하게 먹거나 마시지 않습니다.

절하는 순서

  1. 영정 앞에서의 절 🕯️
    • 향을 피워 향로에 꽂습니다.
    • 영정을 향해 두 번 절합니다.
    • 남자는 큰절, 여자는 동양식 큰절을 합니다.
  2. 상주에 대한 인사
    • 상주를 향해 한 번 절합니다.
    • "삼가 조의를 표합니다"라고 말씀드립니다.

현대 한국식 장례 예절 (절하는 방법) ⚱️

조문 시 기본 예절

  • 상가에 도착하면 먼저 상주나 맞이하는 사람에게 가볍게 목례를 하고 안내를 받습니다.
  • 상복은 어두운 색의 단정한 옷차림이 적절합니다.
  • 음식과 술을 대접받더라도 과하게 먹거나 마시지 않습니다.

절하는 순서

  1. 영정 앞에서의 절 🏵️
    • 향을 피워 향로에 꽂습니다.
    • 영정을 향해 두 번 절합니다.
    • 남녀 모두 큰절을 합니다.
  2. 상주에 대한 인사
    • 상주와 맞절을 합니다.
    • "삼가 조의를 표합니다" 또는 "얼마나 슬프십니까" 등 위로의 말씀을 전합니다.

기독교식 장례 예절 ✝️

 

조문 기본 예절

  • 검정이나 어두운 색상의 정장 착용이 적절합니다.
  • 고인을 위해 기도하는 마음으로 참석합니다.
  • 상주에게 "하나님의 위로가 함께 하시기를 바랍니다"라고 인사드립니다.

 

조문 순서

  1. 헌화 💮
    • 절 대신 헌화를 합니다
    • 흰 국화를 오른손으로 잡고 왼손으로 받쳐 봉오리가 영증을 향하도록 올립니다
  2. 기도 또는 묵념
    • 헌화 후 고인과 유가족을 위한 기도를 합니다.
    • 비기독교인은 잠시 묵념으로 애도를 표합니다. 
  3. 유가족 인사
    • 유가족에게 가벼운 목례나 악수로 위로를 전하며, 맞절은 하지 않습니다.

예배 순서

  1. 입관예배 🙏
    • 목사님의 집례로 진행
    • 찬송, 기도, 성경봉독, 설교, 기도 순으로 진행
  2. 발인예배 🎶
    • 고인을 보내는 예배
    • 찬송과 기도로 진행
  3. 하관예배 🌿
    • 묘지에서 드리는 마지막 예배
    • 주기도문으로 마무리

주의사항

  • 절을 하지 않고 묵념이나 기도로 대신합니다.
  • 헌화는 가능하며, 보통 국화나 백합을 사용합니다.
  • 조의금은 부의금이라고 하며, 봉투에 성함을 기재합니다.

장례식에서 주의해야 할 점 ⚠️

  • 과도한 슬픔 표현 자제: 큰 소리로 울거나 통곡하는 것은 다른 조문객들에게 실례가 될 수 있습니다.
  • 고인에 대한 이야기: 고인에 대한 긍정적이고 좋은 기억을 이야기하는 것은 유족들에게 위로가 됩니다.
  • 불필요한 질문 자제: 고인의 사인이나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질문은 유족들에게 상처가 될 수 있으므로 자제합니다.
  • 음주 및 도박 자제: 장례식장에서 음주나 도박은 매우 부적절한 행위입니다.

마무리 🌸

장례식은 슬픔을 나누고 고인을 추모하는 자리입니다. 위에서 안내해 드린 예절과 주의사항을 잘 지켜, 경건하고 조용한 분위기 속에서 고인의 마지막 길을 함께 해주시길 바랍니다.

추가 정보 ℹ️